본문 바로가기

엄정화 - 초대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2025. 7. 9.

엄정화 - 초대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1998년, 한국 대중음악계에 한 획을 그은 곡이 있었습니다. 엄정화의 대표 히트곡 중 하나인 ‘초대’는 세련된 감성과 강렬한 퍼포먼스로 수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았죠. 특히 박진영이 작사·작곡·편곡까지 모두 맡으며, 당시 댄스 음악의 새 지평을 연 곡으로도 평가받습니다. 지금 들어도 전혀 촌스럽지 않은 감각적 멜로디와 가사, 그리고 엄정화 특유의 관능적인 무대가 돋보이는 명곡입니다.

 

 

💡추천 노래💡

엄정화 - 초대 곡 정보

‘초대’는 엄정화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의 타이틀곡으로, 1998년 여름 발매되자마자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박진영이 직접 프로듀싱하며 화제를 모았고, 섹시하면서도 품위 있는 분위기의 무대 연출은 수많은 여성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 곡은 엄정화를 단순한 아이콘이 아닌 ‘진짜 아티스트’로 자리매김하게 만든 결정적인 작품이기도 합니다.

  • 곡명: 초대
  • 가수: 엄정화
  • 작사: 박진영
  • 작곡: 박진영
  • 편곡: 박진영
  • 발매일: 1998.07.01
  • 앨범: Invitation
  • 장르: 댄스, R&B

곡 의미

‘초대’는 사랑하는 사람을 은밀히 초대해 진심을 나누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 곡입니다. 감정의 깊이를 절제된 가사로 풀어내면서도, 은근한 유혹과 애절함이 어우러져 이중적인 매력을 전합니다.

 

특히 '말을 해봐, 보여줘봐'로 시작되는 랩 파트는 당시 댄스 음악에서 보기 드물게 여성 중심의 당당한 사랑 표현이 담겨 있어 더욱 신선했습니다.

 

이 곡은 단순한 댄스 넘버를 넘어서, 여성의 주체적인 감정 표현이라는 면에서 당시 가요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졌습니다.

 

엄정화 - 초대 가사


오늘을 기다렸어.
이런 밤이 오기를...
그대와 단둘이서 지샐 우리 밤을
난 기다려왔어.

불을 켤 필요 없어.
아무 말도 필요 없어.
그대의 모든 걸 내게 맡긴 채 그대
눈을 감고 있어.

*아슬아슬하게 아찔하게,
그대가 내 품에 들어오게.
이 마음과 이 미소와 이 눈빛과
이 손길로 오늘 밤 그대를 유혹할래

망설일 필요 없어.
난 준비가 돼 있어.
그댄 나의 이 마음을 이미 오래 전에 빼앗아갔어.

**하늘하늘하게 촉촉하게
그대 가슴 속에 젖어오게...
그대 향한 그리움에 목이 마른 이 가슴에
그대 사랑에 비를 내리게.
oh boy...

말을 해봐 보여줘봐
가지고 있는 너의 모든 걸 내게 줘봐
이 밤이 다 가기 전에 내일이 없는 사람들인 것 같이
gonna love you down not make you frown
cuz wit me 'uh' you wear the crown
lovin & rovin once again it's
heaven together girl

 

함께 들으면 좋은 노래

김성옥 - 모란이 피기까지는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윤형주 - 라라라(조개껍질 묶어)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캔 - 천상연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김장훈 - 난 남자다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성시경 - 너의 모든 순간 가사 | 노래듣기 | 연속듣기

자주 묻는 질문

Q1. ‘초대’는 어떤 계기로 탄생하게 된 곡인가요?

A1. ‘초대’는 박진영이 엄정화를 위해 특별히 제작한 곡으로, 기존의 섹시함에 더해 성숙하고 진지한 여성의 매력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음반 전체 콘셉트와 스타일이 치밀하게 기획된 결과물로, 엄정화의 아티스트로서의 색깔을 더욱 뚜렷하게 만들어준 곡입니다.

Q2. 엄정화의 ‘초대’ 무대 연출이 화제가 되었던 이유는 뭔가요?

A2. 당시로서는 파격적이면서도 세련된 무대 의상과 안무, 조명이 모두 어우러진 연출 덕분에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특히 실루엣 조명과 우아한 드레스를 활용한 연출은 이후 많은 여성 가수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대중문화 속 섹시 아이콘의 대표 사례로 남게 되었습니다.

Q3. ‘초대’는 현재도 회자되나요?

A3. 물론입니다. 지금까지도 많은 후배 아티스트들이 리메이크하거나 오마주 무대를 선보이며 그 매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유튜브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꾸준히 감상되며, '90년대 최고의 댄스곡'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습니다.